본문 바로가기

사진강좌/사진이론강좌

[사진이론] ISO 감도란?

ISO 감도란 무엇일까?
ISO와 감도란것은 같은 뜻이기에 이후에는 ISO라고만 적겠다.

사진을 처음 접하게되면 가장 기본적인것이지만 쉽게 노치고 지나가는것이이 ISO란것이다.
조리개나 셔터스피드 조정이 힘든 컴팩트 카메라 (일명 똑딱이)에서조차 볼수 있는 기능 ISO !!
지금부터 ISO에대해 공부해 보자.

ISO는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즉 국제표준화기구의 약자이다.
그럼 이 ISO의 기능은 무엇일까?

카메라의 ISO창을 보게되면 50 100 200 300 이런식으로 숫자가 점점 커지는것을 볼수 있다.

이것은 밀집도의 차이라생각하면 된다
ISO 숫자가 커질수록 입자의 크기가 커지고 밀집도는 줄어든다.

ISO가 높아질수록 셔터스피드가 내려가는것은 그러한 이유이다.

경험상 ISO는 주간보다는 야간에 중요시된다.
주간에야 충분한 광량이 보장되기에 ISO를 낮게 잡아도 아무 문제가 없지만
야간 촬영시에는 조리개 만으로는 셔터스피드가 안나오는 경우가 많다
그런경우 ISO값을 높임으로 셔터스피드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면 ISO가 높을수록 좋은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것이다
숫자가 커지면 노이즈가 생기게 되기때문에 꼭 높은것만이 좋은것은 아니다.

카메라의 기종에따라 노이즈없는 ISO값은 다 다르다.
D80의 경우 400이 안전선이라고 본다면
D700의 경우 1600도 무난히 커버하는것이다.

자신의 카메라에대해 잘 알고 때와 장소에 맞는 설정을 맟출수 있다면
당신은 이미 초보자가 아니다!!